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최종 KISA에서 인증하는 인증심사를 통과를 해야만 인증서가 발급이 됩니다. 제3자의 외부 전문가의 객관적 시각을 통하여 점검을 해 보는 것이죠.
인증 심사에서 주로 심사하는 관점은 3가지로 정리가 될 수 있습니다.
- 관리과정의 적절성 - 관리과정의 전반적인 적절성과 체계성을 심사.
- 위험관리 - 위험관리를 통하여 선택된 정보보호대책들이 정확히 구현 되고 사후 관리가 되었는지를 심사.
- 법의 준거성 - 관리체계 수립시 관련 법률과 제도에 근거한 법의 준거성 측면에서 심사.
아마도 이러한 3가지 측면에서 인증심사를 진행 하게 됩니다. 특히 관리체계의 적적성이란 전문가들 사이에 의견도 달라지고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할수 있기 때문에 , 관리체계를 위한 적절한 조직,절차, 방법들이 사용되고 이들이 체계적으로 관리되는지를 보는 것이죠.
따라서, 인증심사시 허점을 찾아내기 보다 전체적인 틀과 운영상태를 중요하게 심사하게 되고, 단기적, 중기적 , 장기적 마스터 플랜을 세워 어떻게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의지도 중요한 포인트 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예를들어 전산실의 물리적 보호조치가 미흡하여 결함사항이 도출이 되었다고 하면 , 이미 해당년도 예산은 결정이 되어 있고 , 당장 투입할 예산이 없는데도 결함사항을 주어 그것을 보완조치하라는 것은 피 인증 심사기관으로도 힘든 부분일 것입니다.
이럴땐 실무담당자에게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게끔 조언을 주고 차년도 사후관리 심사시에 적용될 수있는 방안을 권고를 하고 차후 사후관리 심사시에는 반드시 이행 여부를 확인하여 , 보안 관리를 점점 강화해 나갈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리체계의 근본적인 취지일 것입니다. 또한 그것이 심사원의 심사 스킬이 아닌가 생각을 해 봅니다.
무조건 허점을 찾아 단기간 보완조치 하기 힘든 것을 결함을 준다면 실무 담당자는 오히려 더 힘들게 할 수도 있고 관리체계의 어려움을 호소 할 수 있기에 , 그 취지에 벗어날 수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예외는 있습니다. 실무 담당자가 의사결정자에게 관리체계의 외부 심사원으로부터 심사를 받고 결함을 도출하여 힘을 실리게끔 지원 사격을 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땐 의사결정자의 마음을 움직여야 함으로 종료보고회의때 실무담당자에 힘도 실어주고 의사결정자의 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제고도 시킬 겸 적절하게 수위 조절 하여 긴급 보완조치를 취하여야 한다는 당위성을 설명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중에 하나라 생각합니다.
어떠한 경우 동일한 사업장에 인증심사를 나가보면 작년보다는 올해에 위험관리가 잘 되어 있어 그 취약점을 점점 제거해 나가고 보안이 강화되는 것을 보면 인증심사원으로서는 뿌뜻함을 느끼게 되는 경험도 느끼게 됩니다. @엔시스.
'Security IS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S인증시 신뢰도 5점부여 - 보안관제 전문업체 지정시 (0) | 2011.02.01 |
---|---|
대한민국 CEO여러분께 고(告)하는 글 (0) | 2011.01.28 |
ISMS(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취득업체 사후관리 제안요청서(RFP)발주 (2) | 2011.01.24 |
ISMS 인증심사 취득하면 어떠한 혜택이 있을까? (0) | 2010.12.15 |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핵심은 바로 "체크리스트" (2) | 2010.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