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테두리로 해 놓은 상태의 영향 분석 결과와 계량분석 결과에 대해 이해를 잘 못하겠습니다. 혹시 아시는분 계시면 댓글로 답글 달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값과 l값이 낮은 것이 k값과 l값 그리고 t값이 주어진 것 보다 침해 위험이 높거나 재식별 시도 가능성이 빈번하다는 것이 이해를 잘 못해서입니다. 제가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해 그렇수도 있겠지만 혹시 설명 가능하신분 있으시면 설명 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향후 가명처리나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시에도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기에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으로 판단합니다. 정말 이해를 못해 공개적으로 포스팅 하는 것이니 혹시 아시는 분은 배려차원에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설명해 주시는 분께 미리 감사 드립니다.
'Privacy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정보 이동권 도입에 즈음하여.... (1) | 2021.02.11 |
---|---|
대출비교서비스 금리비교 시 개인정보 제휴사로 무더기로 넘어가…‘마케팅 활용 우려’ (0) | 2021.01.10 |
개인정보 국가 기본 계획 수립 4차년도 분석 (2021-2023) (0) | 2020.11.30 |
외국의 쿠키 정책과 한국의 쿠키 정책의 차이점은 ? (0) | 2020.11.24 |
개인정보호법 개정이후 개인정보 의무교육인가? 아닌가? (0) | 2020.11.24 |